FASHION

죽도록 일해도 급여가 제자리인 이유?

죽도록 일해도 급여가 제자리인 이유? | 1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는 지속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발간한 ‘2016 중소기업 위상지표’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고용 증가인원은 최근 5년간 227만명(19.4%)으로 일자리 창출의 88.8%를 기여했지만 대기업과의 임금 격차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대기업 고용인원은 28만8000명으로 17.5% 증가했다.

2014년말 기준 국내 중소기업은 354만2350개로 전체 사업체의 99.9%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는 5년 전인 2009년(306만6천484개)보다 15.5% 늘어난 숫자다. 종사자 수는 1402만7636명으로 전체 고용의 87.9%를 차지하고 있다.

전(全)산업 종사자수는 2009년 1339만8000명에서 2014년 1596만3000명으로 약 256만4천명(19.1%) 증가했는데 늘어난 인원 가운데 중소기업 고용인원이 227만7000명(19.4% 증가)을 차지했다.

다만 임금 수준과 수출 등의 측면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내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중소기업이 293만8000원, 대기업이 484만9000원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임금 수준은 2009년 대기업의 61.4%에서 2015년 60.6% 수준으로 오히려 줄었고 특히 제조업 부문의 경우 같은 기간 대기업의 57.6%에서 2015년 54.1%로 감소했다.

2009년~2014년간 제조업 분야의 중소기업 생산액과 부가가치 또한 지속 증가했다. 중소기업은 지난 5년간 생산액 증가에 50.6%, 부가가치 증가에 53.6% 기여해 기여도에 있어 대기업에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5년간 대기업은 생산액 증가에 49.4%, 부가가치 증가에 46.4% 기여).

그렇다면 전(全)산업 중 섬유‧패션 산업의 위상은 어느 정도일까?

죽도록 일해도 급여가 제자리인 이유? | 2

한국섬유산업연합회가 지난해 발표한 ‘섬유패션산업 인력수급조사 및 실태분석’에 따르면 섬유패션산업 기업체 수는 2013년 기준 4만5475개로 제조업 대비 12.3%를 차지하고 있으며 종사자수는 30만1000명으로 7.9%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패션의류 제품 제조업은 봉제의복제조업, 모피가공 및 모피제품 제조업, 편조의복 제조업, 의복액세서리 제조업을 포함하며 2013년 기준 1인 이상 전체 제조업의 6.5%, 종사자의 3.8%, 10인 이상 전체 제조업체의 3.9%, 종사자의 2.5%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섬유‧패션의 평균 임금 수준은 제조업 전체 평균 급여액의 70% 수준으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도 섬유패션산업 월평균 급여액은 215만9000원으로 화학섬유제조업을 제외하고는 제조업 전체 평균 급여액 308만1000원의 70% 수준을 밑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봉제의복 제조업 190만1000원, 의복액세서리 제조업 169만6000원으로 이는 제조업 평균 대비 60% 수준으로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한섭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중소기업 고용 비중이 늘고 있는데 대기업과의 격차가 여전히 지속된다는 것은 그만큼 양극화가 심해짐을 의미한다”며 “양극 해소와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시장의 공정성 회복과 자원(금융, 인력)의 합리적 배분을 통해, 성장과 분배가 조화를 이루는 바른 시장경제 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167 Likes
5 Shares
0 Comments

문 병훈

세계 일주를 꿈꾸는 패션 기자 mbh@fashionseoul.com

답글 남기기

Back to top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