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HION

[Insight] 경제 어려워도 올해 ESG 경영 더 중요하다

[Insight] 경제 어려워도 올해 ESG 경영 더 중요하다 | 1

지난해 초 유럽연합(EU)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급망 실사법 초안을 발표함에 따라 섬유‧패션 수출 전선에 비상이 걸렸다. 이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 EU 수출 기업 공급망에 연결된 납품·협력기업의 인권과 환경 침해 여부까지 조사하는 게 의무화된다. 이때 문제가 발견되면 시정조치를 내리고 이후 해당 내용을 공시하는 방안까지 법안에 담겼다.

실제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2023년 ESG 주요 현안과 정책과제’를 조사했다. 그 결과 올해 가장 큰 ESG현안을 묻는 질문에 전체의 40.3%가 ‘공급망 ESG 실사 대응’이라고 응답했다. 그밖에 ‘ESG 의무공시’(30.3%), ‘순환경제 구축’(15.7%), ‘탄소국경조정제도’(12.0%)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단기적인 대응수준’을 묻는 질문에 원청기업은 48.2%, 협력업체는 47.0%가‘별다른 대응 조치 없다’고 말했다. 장기적인 대응계획으로는 ‘ESG경영 진단/평가/컨설팅’(22.0%), ‘ESG 임직원 교육’(22.0%), ‘ESG경영 위한 체계 구축’(20.7%), ‘국내외 ESG 관련 인증취득’(4.3%), ‘ESG 외부 전문가 영입’(3.7%)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기업 공급망내에 환경문제, 인권침해 여부 등 ESG를 안착시키지 못한 기업은 결국 수출 길이 막힐 수도 있다.

공급망 ESG 실사법은 올해 독일에서부터 시행되고 내년부터 EU 전체로 확대되면서 국내외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협력업체에 ESG 실사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실사 결과 고객사와의 거래나 계약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망 ESG 실사 대응에 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섬유패션업계는 한국섬유패션정책연구원과 FITI시험연구원, 화학섬유협회 등 섬유패션 단체 및 연구원등을 중심으로 해외 인증 및 ESG 평가 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대응에 나서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사항은 소비자와 업체 모두 표준화된 섬유패션 ESG 평가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트림 산업인 섬유패션산업은 각각 단체 및 업체별 대응이 아닌 ESG 현안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구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전문가 및 전문가 단체가 필요해 보인다.

패션업체 한 관계자는 “ESG경영 추진이 어려운 이유는 관련 전문가가 없는 상태에서 관련 기업들이 ESG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이 문제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올해 경제 상황이 어려워도 ESG 경영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 보고 있다. EU 수출길이 막힐 수 있다는 우려도 있지만 ESG 경영을 향후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핵심 경쟁력으로 바라봐야 될 것이다.

143 Likes
8 Shares
0 Comments

문 병훈

세계 일주를 꿈꾸는 패션 기자 mbh@fashionseoul.com
Back to top button